硫磺鸭
‘鸭’确实有解密最强的生物在地球上的能力。
鸭子被饲养吃硫更像是一个排毒的能力,硫从药物成分的毒性去掉它是鸭身和积累。通过专注于硫喂鸭子的好处背部成长磷酸盐老师们发明来克服这种病谁吃一次烤鸭的方法。鸭子被饲养吃硫更像是一个排毒的能力,硫从药物成分的毒性去掉它是鸭身和积累。
민물고둥 (다슬기)
작성자
insan
작성일
2017-04-17 12:03
조회
1917
민물고둥 (다슬기)
인산에 따르면 간과 담을 구성하는 세포조직은 청색소로, 그것이 부족할 때 인체는 간담 계통에 치명적 병증이 발생한다는 것. 이를 치료하는 것은 청색소를 보충하는 데서 묘를 얻는데, 그 대표적 물질이 다슬기다. 다슬기의 살과 물은 신장을 돕고, 그 껍질은 간담의 약이 된다.
청정지역에서 채취한 민물고둥(다슬기)를 마늘, 생강, 파 등과 함께 무쇠솥에 넣고 소나무장작불로 이틀을 달였습니다.
간을 살리는 청색소의 보물창고 다슬기!
金.木.水.火.土의 오행(五行)에 따르면 푸른 색은 나무의 빛깔이고, 사람에게는 목장부(木臟腑)인 간(肝)과 담(膽,쓸개)에 해당한다. 육안으로 볼 때도 간의 빛깔은 푸르고, 쓸개즙 역시 푸른 빛임을 알 수 있다.
인산선생에 따르면 간(肝)과 담(膽)을 구성하는 세포조직은 청색소로, 그것이 부족할 때 인체는 간담 계통에 치명적 병증이 발생한다는 것. 이를 치료하는 것은 청색소를 보충하는 데서 妙를 얻는데, 그 대표적 물질이 다슬기이다.
다슬기의 살과 물은 신장을 돕고, 그 껍질은 간담의 약이 된다. 따라서 다슬기를 약으로 쓸 때는 살과 삶은 물론, 껍질도 함께 활용해야 한다.
천하의 인산선생도 '刊에 생긴 병'은 어렵다고 하였다. 간염의 시초에 간을 돕는 靑色素가 풍부한 물질을 섭취하면서 맑은 공기 호흡하며 청정한 생활을 유지하면 어렵잖게 회복시킬 수 있으나, 그것이 간경화 간암의 단계로까지 나아가면 손 쓰기 어렵다고 한 것이다. 선생이 생전에 말씀하기를 "간암인 경우 간암약을 써서 생명을 구하는 것이 50%도 안된다" 하였다.
그만큼 간의 병은 치명적이다. 흔히 간을 '침묵의 臟器'라고 부르듯이, 간은 여간 해서 말이 없다. 그러나 자각증상을 확연히 느낄 정도로 얼굴색이 새까맣게 변하고 눈에 황달이나 흑달이 오면 간이 갈 데까지 간 것이다.
肝病은 어떻게 생기는가 ?
간은 인체에 들어오는 갖은 독을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몸안의 탁한 피를 맑혀주어 원래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도와 준다. 그런데 체내에 들어오는 독소의 양이 한계를 넘어서면, 그땐 간도 손을 들고 만다.
인산선생이 밝힌 肝病의 병리를 들어보자. 선생에 따르면 사람의 몸안에서 피가 형성되는 것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분의 작용때문이라고 한다. 공간 대기중의 전분, 섭취하는 음식물로 들어오는 전분, 털구멍(毛孔)호흡으로 들어오는 전분이 피를 이룬다는 것이다. 그래서 선생은 건강과 질병을 가르는 결정적인 요인으로(정신적 요소를 제외할 때) 호흡, 식사, 모공호흡 세가지를 꼽았다.
호흡, 식사, 모공호흡을 통해 들어오는 외부물질 중의 전분이 피를 혀엉하고, 그 피가 몸안에서 돌고 간으로 들어가 정화되는데, 간의 정화능력의 한계를 넘어설 정도로 피가 탁하면 간은 그 기능을 멈추는 것이다.
간을 돕는 약물들 ?
이런 원리에 따라 간병의 치료는 당연히 간 속의 탁한 피를 맑혀주는 약물질의 섭취나 호흡, 운동 등이 주가 된다. 그 가장 탁월한 약물질을 선생은 웅담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웅담은 주위에 널려있는 것이 아니기에 사실상 약물로서 별 의미가 없다.
그 다음으로 꼽는 것은 익모초, 약쑥, 솔, 다슬기 따위다. 간이 약한 사람은 이런 좋은 약물질을 활용하여 간기능을 회복시키라고 하였다. 가령 약쑥과 익모초를 달여 늘 복용하면 간을 튼튼히 할 수 있다. 언젠가 이 지면을 통해 자세히 소개하겠지만 값싸고 쉽게 구할 수 있는 '益母草'가 간에 좋은 약이다. 익모초가 도울 '益'자 어미 '母'자를 쓰는 것도 이유가 있다. 말 그대로 엄마를 돕는다는 뜻인데, 익모초는 엄마가 아기를 날 때 생기는 어혈을 풀어주는 작용을 한다. 즉 탁한 피를 정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얘기다. 이런 익모초가 간에 들어가 피를 맑혀주니 간이 허약한 사람에게 좋은 물질이 된다.
다슬기는 웅담의 대용
인체의 각 장부(臟腑)의 성질은 金.木.水.火.土의 오행(五行)에 대입하여 파악할 수 있다. 간과 담은 목장부(木臟腑)에 해당한다. 오행에서 木은 푸른빛과 통한다. 나무의 빛깔이 푸르지 않은가. 마찬가지로 인체 장부 중 간과 담도 푸른빛이다. 따라서 목장부의 병, 즉 간담계통의 병은 청색소가 다량 함유된 물질들을 활용하여 다스린다. 현대과학에 의해 간에 좋다고 알려진 물질들도 대개 푸른색이다.
인산의학에서 간병의 약으로 쓰는 솔, 다슬기, 약쑥, 느릅나무, 노나무, 벌나무 모두 푸른색을 띤, 청색소를 다량 함유한 물질이다.
인산선생은 간과 담을 구성하는 세포 자체가 청색소라고 한다. 그래서 사람의 몸안에 청색소가 부족되면 인체는 간과담에 치명적인 타격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그 청색소의 부족을 메꿔주는 탁월한 약물질의 하나가 다슬기니, 여기서 선생의 말씀을 잠깐 들어보자.
" 민물고둥이라고, 다슬기가 있어요. 그것이 深山에서 나오는 건 상당히 비밀이 있어요. 달이게 되면 파란물이 나오는데 어머니가 흡수한, 호흡을 통해 흡수한 간을 이루는 세포조직이 그 청색인데, 그 새파란 물이 인간의 간을 이루는 원료라. 그 청색소의 힘을 빌려 간이 정화작업을 하는데 그 간의 조직체인 색소가 고갈돼서 간암 간경화가 생겨요"
다슬기는 사람의 간 색소와 비슷한 청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다슬기의 암록색은 녹색소로 이뤄진 간의 조직 원료라고 한다.
다슬기의 살과 물은 신장을 돕고, 그 껍질은 간담의 약이 된다. 따라서 다슬기를 약으로 쓸 때는 살과 삶은 물론, 껍질도 함께 활용해야 한다.
다슬기는 되도록 달여서 복용하는 게 좋다. 다슬기를 유황오리, 금은화, 포공영, 생강, 대추, 유근피, 마늘 등과 함께, 다슬기의 껍질에서 약성이 충분히 우러나올 때까지 이틀 이상 달여 그 엑기스를 섭취하는 방법이다. 물론 약재처방과 함께 달인 것이라면 더할 나위없이 좋을 것이다.
인산선생은 1989년 12월, 미국 LA에서 가진 특별강연회에서 다슬기의 약성과 이용법, 나아가 약물의 활용하는 자세 등에 관해 명쾌하게 밝힌 적이 있다. 이 말씀을 통해 독자들은 단순히 다슬기가 간에 좋더라 하는 인식에서 머물지 않고 인산의학의 한 핵심, 인산선생의 사상의일단을 간파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또 산속에 민물고둥이란 다슬기 있어요. 그놈은 간염 환자가 간암이 됐다구, 아주 농촌에서 불쌍한 사람이 죽는대, 그러면 그 부모들 보구 산도랑에 흔한 거니까 잡아다가 흠씬 고아 가지구 조청처럼 해가지구 밤낮 먹게 해라. 그래서 그걸 한 20일 먹으니까 벌써 살아나더라 이거야.
간암이, 죽는다구 나온 사람이 20일 먹구 좋아진다? " 그럼 자꾸 멕여라" 자꾸 멕이니 나나요. 그 나은 사람이 와서 하는 말이 " 촌에서 그걸 애들 끓여서 까먹으는 건 있으나, 전 잘 모르는데 그게 간암이 나을 수 있느냐" 하는 거야. 그래서 "네가 네병을 고쳤으니 너는 간의 조직체인 색소가 녹았다. 그 고둥을 흠씬 고아 놓으면 새파란 물이다. 너의 영혼이 어머니 뱃속에서 간을 이루는 청색분자가 돼서 네 간이 생겼는데, 청색분자가 다 썩어 가지구 고갈해서 너는 죽으니 네 간을 이루던 원료를 네게 공급하라고 일러준 거다."
그 사람 말이 " 선생님은 그렇게 알면서 간암으로 죽는 수가 이렇게 많으니 이거 도와줄 수 없습니까" 그거야. " 너는 나하고 운명이 도움 받을 사람이 돼서 받았겠지만, 그 미친놈이라구 욕하면 안될거 아니냐?" 그런 말 한 일 있어요.
" 그런 거 고아 먹어라?" 지금 병원에서 죽는다고 내 보낸 걸 민물고둥을 고아 먹으라 하니 그 미쳤다구 하면 그건 안 먹었을 거구. 그러나 개똥도 약으로 보이니 먹어보겠다고 해서 좋아지니까 그걸루 고친다.
약이라는 건 그 사람의 정신력에 좌우되는 일이 많아. 마음에 믿고 안 믿는 일이 또 많아. 그렇게 안 믿는 사람들 도와주는 건 내 힘으론 안되고 좋은 약물이 있어도 그럴 적엔 그걸 운명이라구 봐야 돼요.
인산에 따르면 간과 담을 구성하는 세포조직은 청색소로, 그것이 부족할 때 인체는 간담 계통에 치명적 병증이 발생한다는 것. 이를 치료하는 것은 청색소를 보충하는 데서 묘를 얻는데, 그 대표적 물질이 다슬기다. 다슬기의 살과 물은 신장을 돕고, 그 껍질은 간담의 약이 된다.
청정지역에서 채취한 민물고둥(다슬기)를 마늘, 생강, 파 등과 함께 무쇠솥에 넣고 소나무장작불로 이틀을 달였습니다.
간을 살리는 청색소의 보물창고 다슬기!
金.木.水.火.土의 오행(五行)에 따르면 푸른 색은 나무의 빛깔이고, 사람에게는 목장부(木臟腑)인 간(肝)과 담(膽,쓸개)에 해당한다. 육안으로 볼 때도 간의 빛깔은 푸르고, 쓸개즙 역시 푸른 빛임을 알 수 있다.
인산선생에 따르면 간(肝)과 담(膽)을 구성하는 세포조직은 청색소로, 그것이 부족할 때 인체는 간담 계통에 치명적 병증이 발생한다는 것. 이를 치료하는 것은 청색소를 보충하는 데서 妙를 얻는데, 그 대표적 물질이 다슬기이다.
다슬기의 살과 물은 신장을 돕고, 그 껍질은 간담의 약이 된다. 따라서 다슬기를 약으로 쓸 때는 살과 삶은 물론, 껍질도 함께 활용해야 한다.
천하의 인산선생도 '刊에 생긴 병'은 어렵다고 하였다. 간염의 시초에 간을 돕는 靑色素가 풍부한 물질을 섭취하면서 맑은 공기 호흡하며 청정한 생활을 유지하면 어렵잖게 회복시킬 수 있으나, 그것이 간경화 간암의 단계로까지 나아가면 손 쓰기 어렵다고 한 것이다. 선생이 생전에 말씀하기를 "간암인 경우 간암약을 써서 생명을 구하는 것이 50%도 안된다" 하였다.
그만큼 간의 병은 치명적이다. 흔히 간을 '침묵의 臟器'라고 부르듯이, 간은 여간 해서 말이 없다. 그러나 자각증상을 확연히 느낄 정도로 얼굴색이 새까맣게 변하고 눈에 황달이나 흑달이 오면 간이 갈 데까지 간 것이다.
肝病은 어떻게 생기는가 ?
간은 인체에 들어오는 갖은 독을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몸안의 탁한 피를 맑혀주어 원래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도와 준다. 그런데 체내에 들어오는 독소의 양이 한계를 넘어서면, 그땐 간도 손을 들고 만다.
인산선생이 밝힌 肝病의 병리를 들어보자. 선생에 따르면 사람의 몸안에서 피가 형성되는 것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분의 작용때문이라고 한다. 공간 대기중의 전분, 섭취하는 음식물로 들어오는 전분, 털구멍(毛孔)호흡으로 들어오는 전분이 피를 이룬다는 것이다. 그래서 선생은 건강과 질병을 가르는 결정적인 요인으로(정신적 요소를 제외할 때) 호흡, 식사, 모공호흡 세가지를 꼽았다.
호흡, 식사, 모공호흡을 통해 들어오는 외부물질 중의 전분이 피를 혀엉하고, 그 피가 몸안에서 돌고 간으로 들어가 정화되는데, 간의 정화능력의 한계를 넘어설 정도로 피가 탁하면 간은 그 기능을 멈추는 것이다.
간을 돕는 약물들 ?
이런 원리에 따라 간병의 치료는 당연히 간 속의 탁한 피를 맑혀주는 약물질의 섭취나 호흡, 운동 등이 주가 된다. 그 가장 탁월한 약물질을 선생은 웅담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웅담은 주위에 널려있는 것이 아니기에 사실상 약물로서 별 의미가 없다.
그 다음으로 꼽는 것은 익모초, 약쑥, 솔, 다슬기 따위다. 간이 약한 사람은 이런 좋은 약물질을 활용하여 간기능을 회복시키라고 하였다. 가령 약쑥과 익모초를 달여 늘 복용하면 간을 튼튼히 할 수 있다. 언젠가 이 지면을 통해 자세히 소개하겠지만 값싸고 쉽게 구할 수 있는 '益母草'가 간에 좋은 약이다. 익모초가 도울 '益'자 어미 '母'자를 쓰는 것도 이유가 있다. 말 그대로 엄마를 돕는다는 뜻인데, 익모초는 엄마가 아기를 날 때 생기는 어혈을 풀어주는 작용을 한다. 즉 탁한 피를 정화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얘기다. 이런 익모초가 간에 들어가 피를 맑혀주니 간이 허약한 사람에게 좋은 물질이 된다.
다슬기는 웅담의 대용
인체의 각 장부(臟腑)의 성질은 金.木.水.火.土의 오행(五行)에 대입하여 파악할 수 있다. 간과 담은 목장부(木臟腑)에 해당한다. 오행에서 木은 푸른빛과 통한다. 나무의 빛깔이 푸르지 않은가. 마찬가지로 인체 장부 중 간과 담도 푸른빛이다. 따라서 목장부의 병, 즉 간담계통의 병은 청색소가 다량 함유된 물질들을 활용하여 다스린다. 현대과학에 의해 간에 좋다고 알려진 물질들도 대개 푸른색이다.
인산의학에서 간병의 약으로 쓰는 솔, 다슬기, 약쑥, 느릅나무, 노나무, 벌나무 모두 푸른색을 띤, 청색소를 다량 함유한 물질이다.
인산선생은 간과 담을 구성하는 세포 자체가 청색소라고 한다. 그래서 사람의 몸안에 청색소가 부족되면 인체는 간과담에 치명적인 타격을 받게 된다는 것이다.
그 청색소의 부족을 메꿔주는 탁월한 약물질의 하나가 다슬기니, 여기서 선생의 말씀을 잠깐 들어보자.
" 민물고둥이라고, 다슬기가 있어요. 그것이 深山에서 나오는 건 상당히 비밀이 있어요. 달이게 되면 파란물이 나오는데 어머니가 흡수한, 호흡을 통해 흡수한 간을 이루는 세포조직이 그 청색인데, 그 새파란 물이 인간의 간을 이루는 원료라. 그 청색소의 힘을 빌려 간이 정화작업을 하는데 그 간의 조직체인 색소가 고갈돼서 간암 간경화가 생겨요"
다슬기는 사람의 간 색소와 비슷한 청색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다. 다슬기의 암록색은 녹색소로 이뤄진 간의 조직 원료라고 한다.
다슬기의 살과 물은 신장을 돕고, 그 껍질은 간담의 약이 된다. 따라서 다슬기를 약으로 쓸 때는 살과 삶은 물론, 껍질도 함께 활용해야 한다.
다슬기는 되도록 달여서 복용하는 게 좋다. 다슬기를 유황오리, 금은화, 포공영, 생강, 대추, 유근피, 마늘 등과 함께, 다슬기의 껍질에서 약성이 충분히 우러나올 때까지 이틀 이상 달여 그 엑기스를 섭취하는 방법이다. 물론 약재처방과 함께 달인 것이라면 더할 나위없이 좋을 것이다.
인산선생은 1989년 12월, 미국 LA에서 가진 특별강연회에서 다슬기의 약성과 이용법, 나아가 약물의 활용하는 자세 등에 관해 명쾌하게 밝힌 적이 있다. 이 말씀을 통해 독자들은 단순히 다슬기가 간에 좋더라 하는 인식에서 머물지 않고 인산의학의 한 핵심, 인산선생의 사상의일단을 간파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또 산속에 민물고둥이란 다슬기 있어요. 그놈은 간염 환자가 간암이 됐다구, 아주 농촌에서 불쌍한 사람이 죽는대, 그러면 그 부모들 보구 산도랑에 흔한 거니까 잡아다가 흠씬 고아 가지구 조청처럼 해가지구 밤낮 먹게 해라. 그래서 그걸 한 20일 먹으니까 벌써 살아나더라 이거야.
간암이, 죽는다구 나온 사람이 20일 먹구 좋아진다? " 그럼 자꾸 멕여라" 자꾸 멕이니 나나요. 그 나은 사람이 와서 하는 말이 " 촌에서 그걸 애들 끓여서 까먹으는 건 있으나, 전 잘 모르는데 그게 간암이 나을 수 있느냐" 하는 거야. 그래서 "네가 네병을 고쳤으니 너는 간의 조직체인 색소가 녹았다. 그 고둥을 흠씬 고아 놓으면 새파란 물이다. 너의 영혼이 어머니 뱃속에서 간을 이루는 청색분자가 돼서 네 간이 생겼는데, 청색분자가 다 썩어 가지구 고갈해서 너는 죽으니 네 간을 이루던 원료를 네게 공급하라고 일러준 거다."
그 사람 말이 " 선생님은 그렇게 알면서 간암으로 죽는 수가 이렇게 많으니 이거 도와줄 수 없습니까" 그거야. " 너는 나하고 운명이 도움 받을 사람이 돼서 받았겠지만, 그 미친놈이라구 욕하면 안될거 아니냐?" 그런 말 한 일 있어요.
" 그런 거 고아 먹어라?" 지금 병원에서 죽는다고 내 보낸 걸 민물고둥을 고아 먹으라 하니 그 미쳤다구 하면 그건 안 먹었을 거구. 그러나 개똥도 약으로 보이니 먹어보겠다고 해서 좋아지니까 그걸루 고친다.
약이라는 건 그 사람의 정신력에 좌우되는 일이 많아. 마음에 믿고 안 믿는 일이 또 많아. 그렇게 안 믿는 사람들 도와주는 건 내 힘으론 안되고 좋은 약물이 있어도 그럴 적엔 그걸 운명이라구 봐야 돼요.